잡상들/회고25 2023년 10월 회고. 이번주 금요일에 할머니댁에 내려왔다. 내려와서 휴식을 취하면서 2023년 10월의 회고를 작성해봤다. 이번달에는.. 생각보다 이런저런 경로를 통해서 이직 제안을 많이 받았다. 일을 시작한지는 4년이 넘었고, 지금 회사에서의 경력은 2년에 가까워지고 있다. 다만, 내가 이후에도 계속 분석가로 일을 하고 싶은지 스스로에게 물어보고 있다. 만약 사업개발 직군으로 이직한다면, 영어나 일어 등 어학능력이 필요하다보니, 그거대로 준비할 것이 많다는 것을 느낀다. 팍팍한 21세기다~ 아쉬웠던 점은 명확한 계획을 세우고, 일을 진행시키지 못했다는 점이다. 11월에는 조금 더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고, 그에 따라서 일을 할 수 있도록 해보자. 잘한 점은 일기를 정말 꾸준하게 쓰려고 노력했다. 올해 일기를 쓰면서, 어쩌다가.. 2023. 10. 28. 2023년 9월 회고. 9월에 진짜 개인적인 스케쥴도 빠듯했지만, 그렇다고 하루를 완벽하게 보냈던 날은 또 그렇게 많지 않았던 것 같다. 많은 감정을 느낄 수 있었던 9월에 대해서 회고해본다. Work 유튜브 쇼핑에 첫 발 8월 회고에서 언급한 것처럼 회사에서 유튜브와 협업을 통해 유튜브 쇼핑과 관련 결제 서비스인 쇼핑페이를 런칭했다. 최근 홈쇼핑 호스트로 성공한 연예인들이 방송에 나왔는데, 그들이 만들어내는 매출 규모만 보면 이 시장이 엄청난 시장임을 알 수 있다.(실제로 관련 시장에 대한 글을 정리해서 작성할 예정이다.) 이렇게 중요한 시장이다보니, 우리 분석팀도 9월에 이런저런 수많은 분석 업무 요청 속에서도 유튜브 쇼핑을 중심으로 가져가면서 일을 할 수 있었다. 특히, 업무 우선 순위를 정하고 일정 조율하고 하는 과정에.. 2023. 9. 24. 2023년 8월 회고. 1. Cohort 및 리텐션과 관련한 분석 이번달은 다양한 영역에서 Cohort 및 리텐션과 관련한 분석을 시작했다. 원래도 가맹점과 관련한 주요 지표에서 리텐션 지표를 점검하고, 이슈를 발굴하는 일은 하고 있었다. 다만, 전사적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다른 사업부에서도 리텐션을 위한 분석환경 구축 및 관련 분석을 요청하는 사례가 많았던 달이었다. 확실히 이럴 때면, 조직의 수장이 어떤 목표를 갖고, 얼마나 의지를 갖고 움직이는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느낀다. 이전에도 간단하게 언급했지만, 조직의 보고 때 지표와 결과를 중심으로 보고하도록 강조하는 것들이 조직의 업무 방식이나 보고/정보 공유방식을 크게 바꿨다. 나도 MBTI로 따지면 F보단 T성향에 가깝다보니, 가끔 다른 부서들의 현안 미팅에서 '우리 .. 2023. 9. 1. 2023년 6월 회고. 1. 회고의 주기를 줄여볼까 생각한다 예전부터 실행하다가, 멈췄다가 반복되는 행동 중 하나가 계획과 회고다. 매주 월요일마다 주간 계획을 세우는 작업은 꾸준히 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하루 단위로 계획을 세우거나 주간 단위로 복기를 하거나 하는 작업은 생각보다 소홀했던 것이 현실이다. 부끄러운 일이다. 계획과 회고를 통해서 시간을 포함한 다양한 자원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고 가정할 때, 이 계획과 회고의 주기가 짧아질수록 내가 가진 자원을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우선 7월은 매일 일단위로 계획을 세우고, 일단위 리뷰와 주단위 리뷰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해보자. 이것부터 시작해보고 이것이 습관이 된다면 하루를 2~3등분으로 나눠서 시간을 쪼개서 관리해보.. 2023. 6. 25. 2023년 5월 회고. 5월을 돌아보면서 1. 오래 다니기도 연습이 필요하다 회사의 사정이 어려워지면서, 점점 더 많은 문제가 드러난다. 특히나 커뮤니케이션의 방식 등을 보고있자면, 속이 터질 것 같은 순간이 많다. 오늘만해도 한 미팅에서 실제 작업물에 대한 활용도나 효용을 높이기 위한 토론이 아닌, 이 결과물이 CTO께서 의도하는 방향이 맞을까만 놓고 1시간 이상 토론했다. 회사 상황이 어려워지니, 더 많은 사람들이 C레벨의 눈치를 본다. 정말 당장이라도 퇴사하고, 다른 직장을 구하고 싶은 마음이 솟구쳤다. 그 밖에도 인원이 감소하니까, 가장 업무논의를 많이 해야할 팀장님은 TF팀이나 다른 부서팀장 겸직 등으로 팀 정기미팅은 언제나 일정이 늦어지고 하다보니, 생각이 많아졌던 것은 사실이다. 특히나 보통 조직에서 많이한다는 1.. 2023. 6. 1. 2023년 4월 회고. Work -1. Airflow를 활용한 자동화 개선 Slack으로 아침마다 지표보내는 작업에 대한 자동화를 마무리했다. 이제 수기로 작업하는 내용은 모두 사라졌다. 최근 PAP블로그에 올라온, '데이터 분석가가 처음 회사에 들어와서 해야 할 일들 7가지'라는 글을 읽었다. 이 중 데이터 분석가가 해야하는 일 중 자동화에 대한 부분에서 많은 공감을 했다. 분석가의 역할 중 하나가 내부 구성원들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유의미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라 생각한다면, 어떻게 주기적으로 효율적으로 이 정보를 공급할 수 있을지가 중요하다. 3월에 수익, 비용 분석을 위해서 데이터파이프라인 작업을 하면서 영감을 얻었다. 해당 작업은 거래액 데이터가 있는 Database과 비용 내역이 집계되는 Database가 다르기 때문.. 2023. 4. 30. 2023년 3월 회고. What I did 본격적인 수익성 분석을 시작했다. 우리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은 SAAS보다는 마켓플레이스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주요 거래 형태에 거래액 기반의 결제 수수료에서 나오고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PG사나 마켓에 따라서 거래액 대비 수수료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취합해서 대시보드로 제공하거나 분석하는 작업을 했다. 여기에 주로 나가는 서버 비용등을 차감하는 형태로 수익성 개선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작업을 추가로 진행하고 있다. 또한 2월에 산출한 LTV 산출과 관련된 부분을 접목해서, 사용하는 비용 대비 미래의 수익성 등을 접목해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고도화 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Pricing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 배경은 Shopify는 구독료 등을 받으.. 2023. 3. 26. 2023년 2월 회고. 아직 2월이 끝나기까지 2일 정도 남았다. 다만, 시외버스를 타고 할머니댁을 다녀오면서 너무 많은 에너지를 쓴 상태라, 씻고 자리에 앉으니 다른 일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래서 추가적인 일을 하는 대신, 2023년 2월의 회고를 오늘 작성하게 됐다. ① 시계열 분석과 모델링을 공부하고 있다. 인터넷을 통해, Meta의 Prophet 모델 등 활용가능한 방법을 찾고 업무에 적용했다. 다만, 시계열과 예측에 대한 것은 데이터 분석에서 가장 활용도가 높은 영역이기에, 개념을 정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전에 물류기획으로 일할 때도 수요 예측 등 시계열 분석의 결과물을 만들 일이 많았다.) 그래서 교재를 구매해서 공부하기 시작했다. 처음에 시계열 맛보기를 할 때는, '이게 왜 통계학과 4학년 과.. 2023. 2. 26. 2023년 1월 회고 업무, 공부, 그리고 일상과 관련하여 1월을 정리해본다. [ 업무 ] 리포팅 작업을 조금 더 매끄럽게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Confluence에서 제공하는 View Tracker이나 대시보드의 활용 정도를 보면서, 내용만큼이나 형식도 중요하다는 것을 느낀다. 데이터, 정확히는 수치로 된 내용을 읽는 것이 내가 독일어나 스페인어로 된 리포트를 읽는 것과 같은 느낌일 수 있다는 마음으로, 최대한 직관적이고 깔끔하게 전달하기 위해 고민하고 있다. 이번달에 인사평가를 진행했다. 입사한지 1년이 다 되어가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회사에서 정해준 양식에 맞춰서, 내가 한 일들을 열거했고, 스스로 생각하는 점수 등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팀장님께서 점수를 되게 좋게 주셨다. 내가 보여드린 것에 비해 너무 .. 2023. 2. 4. 2022년 회고 (2) - 데이터 분석가로 직무 전환하면서 목차 1. 데이터 분석가로 직무 전환하기 2. 데이터 분석가의 일 (1) - 대시보드 제작하기 3. 데이터 분석가의 일 (2) - 가설검증, 리서치 데이터 분석가로 직무 전환하기 2022년 3월에는 비즈니스 분석가로 이직했다. 식품 B2C 스타트업 회사의 물류기획에서, IT B2B 중견기업 데이터 분석가로 이직했다. 그렇기에 주변에서 어떻게 이직할 수 있었냐는 질문을 자주 받았다. 아마 업종, 비즈니스 형태, 규모가 다른 회사에 직무까지 다르게 가서 그런 것 같다. 이직을 준비하면서 느낀 점은 데이터 분석가 직무는 Fit이 되게 중요한 것 같다. 회사에 따라 선호하는 유형의 인재가 조금씩 다르다. 분석가에게 Airflow 작업 등 엔지니어링 경험을 더 기대하는 회사도 있고, 반대로 비즈니스의 의사결정 지.. 2022. 12. 26. 2022년 회고 (1) - 물류 사업개발/PO로 1년 5개월을 마무리하고 목차 1. 1년 5개월을 마무리하면서 2. 물류기획 리드의 일 2-1. 비즈니스 알고리즘 고도화 2-2. 자동화 2-3. 지속가능한 물류 전략 수립 3. 끝으로 1년 5개월을 마무리하면서 2020년 10월에 물류 사업개발 매니저로 처읍 입사했으니, 대략 1년 5개월 정도 근무한 셈이다. 이전 회사에서는 마케팅/세일즈로 근무했다. 물류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였기에 비교적 혹독한 온보딩을 경험했다. 일반인 배송 서비스 출시를 준비하고 있었기에, 기사님들이 사용할 앱 서비스, 상품을 픽업할 수 있는 TC(Transfer Center), 그리고 기사님들이 필요하다는 내용만 전달받고 일을 시작했다. 쉽게 말하면, 자체 물류를 위해 준비된 것이 아무것도 없는 상태였다. 그래서 낮에는 앱 서비스 기획을 하고.. 2022. 12. 23. 22년 11월 회고 벌써 12월이라니. 이제 유튜브 추천 영상에 캐롤이 나오기 시작한다. 설렘과 미묘함이 공존하는 밤이다. 올해가 지나면 30살이 끝난다. 그러다보니 마음 속으로 조급함이 생긴다. 그럼에도 여전히 우리가 살아가야 할 삶에서 30살은 비교적 초반부가 될 수 있다는 마음으로 장기적인 관점을 유지하면서 꾸준히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정신없지만 나름대로 느낌있었던 11월의 회고를 진행해봤다. 1. 업무/커리어 1-1. 재무 정보 분석하기 11월 초에는 다양한 기업들이 분기 실적발표를 진행한다. 내가 재직중인 회사뿐만 아니라, 우리의 국내 및 해외 경쟁사들이 3분기에 대한 실적을 발표했다. 우리 팀과 팀원들의 역할이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는 쪽에 무게 중심을 두는 Data Analyst보다는 회사의 비즈.. 2022. 12. 4.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