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기록

'데이터 드리븐 고객 경험'를 읽고 - CDP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KevinKim. 2025. 6. 14. 11:50

 

글 리뷰.

 

CDP 구축 단계에서 마주하는 문제들

데이터 드리븐 고객 경험을 읽고 | CDP PM으로 새로운 커리어를 시작했습니다. CDP는 Customer Data Platform의 약자로, 고객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해 비즈니스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축하는

brunch.co.kr

 

아래는 읽으면서 정리했던 독서 노트.

데이터 활용의 4가지 유형

  • Data Product Business
  • Data-driven Customer Experience
    • 총체적 경험 = 사용 경험 + 고객 경험 + 임직원 경험 + 복합 경험
    • 고객에게 wow moment를 선사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
    • 개인화된 구매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와 순간들이 존재함
    • CDP Product팀은 임직원 경험 개선을 통해 무신사의 총체적 경험을 개선하고 있음
    • 우리 프로덕트의 wow moment는 어떻게 제공될 수 있을지 고민 필요
  • Data-driven Operation Excellence
  • Data-Driven New Business

고객 경험과 비즈니스의 동반 성장 방법

  • 데이터 기반의 성장은 지속적 선순환을 통해 이루어짐
  • 성장 관리 프레임워크
    • 고객 데이터 상시 분석
    • CEJ 인사이트 도출 (Painpoint, 니즈 등)
    • 고객 경험 개선 포인트 도출
    • 실행의 효과성 검증
    • Growth 운영 관리
  • Single Customer View (SCV)
    • 온/오프라인 데이터가 통합되어 고객을 360도 이해 가능
    • SCV가 구축되면 상시적으로 개인 단위 또는 세그먼트 단위 타겟팅 가능
  • Customer Experience Journey (CEJ)
    • 브랜드 인지부터 구매까지의 전 과정을 포함하는 다양한 Touchpoint
    • 긍/부정 경험 및 여정 상 위치 분석을 통해 인사이트 도출 가능
    • 마이크로 CEJ는 Amplitude 등으로 분석 가능
    • 매크로 CEJ는 분석이 상대적으로 어려움
  • 고객 여정은 구매 이력, 온라인 행동 데이터를 통해 분석 가능
  • 유즈 케이스 시나리오 디자인
    • 고객 경험 관점에서 문제 정의 필요
    • CDP 기술 구현과 시나리오/전략 컨설팅이 병행되는 경우, 기능 구현과 IT 이슈 해결에 많은 리소스가 필요함
    • 컨설팅 영역의 소홀함은 프로젝트의 실패 원인이 될 수 있음

성공적인 CDP 구현을 위한 핵심 전략

CDP 기획의 핵심 요소

  • 통합의 중요성
    • 데이터 사일로 현상 해소 필요
    • 데이터 사일로: 조직 간 데이터가 고립되거나 중복 설계되어 비효율적인 상태
    • 통합되지 않은 데이터 레이크가 많아지면 오히려 활용성 저하
    • CDP 레퍼런스 아키텍처는 데이터 사일로 해소에 도움이 됨
  • CDP의 핵심 기능
    • 데이터 수집
    • 프로파일 통합 (Unification)
    • Segmentation 및 분석
    • Activation (마케팅 실행 등)
    • 즉시 활용 가능한 데이터 저장소
    • ID Resolution 기능: 하나의 고객 프로파일 생성 (CRM 고객번호, 쿠키ID 등 연결)
    • 세그먼트 분석 기능: 유사 속성 고객 그룹 식별
    • Activation 기능: 세그먼트를 기반으로 마케팅 실행
  • 실시간의 중요성
    • 실시간 기능이 필요한 데이터 정의 필요
    • 중복 레코드, 일관성 문제 등 데이터 품질 개선 필수
    • 실시간 데이터 통합을 위한 강력한 처리 성능 필요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하고 통합하는가

  • 비즈니스 활용 목적에 맞는 데이터 정의 및 수집 대상 명확화

개인 고객 중심의 데이터 통합

  • 프로파일 통합: 여러 고객 식별자를 신규 통합 ID로 통합
  • 고객 식별자 정보를 선택하고, 저장할 정보 결정 필요
  • ID Resolution
    • 배치/실시간 맵핑 테이블 생성
    • 결정론적 맵핑: 로그인 기반 연결
    • 확률론적 맵핑: 행동 패턴 기반 동일 ID 추정
  • 표준화 모델링
    • 공통 데이터 구조 정의
    • 새로운 행동 정보 수집/분석을 위한 기반
    • CEJ 표준화 모델링 정의 시 Touchpoint에 대한 정의 필요

고객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 컴플라이언스 준수
  • 개인정보와 일반정보의 분리 저장 필요
    • L0: 원천 데이터, 암호화/범주화 저장
    • L1: 분석 효율을 위한 가공 데이터
    • L2: 모델 기반 생성 데이터 (예: 관심도 지수)
    • 아카이빙: 장기 보관 목적의 데이터 (저비용 저장소 활용)
  • 개인정보 포함 시 처리 방식
    •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삭제
    • Secure Zone에 별도 저장
    • 해시 처리 저장
    • 범주화하여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