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기록 2

'모든 것은 예측 가능하다'를 읽고 | 직관을 뛰어넘는 사고, 베이즈 정리

들어가면서세상에 어떤 조작을 가하여 목표를 이루고자 하는 모든 존재는, 베이즈적 사고를 해야 좋은 결정을 내릴 수 있다. (p. 14) 프로덕트 오너(Product Owner)로 일하면서 가장 고민하는 것은 '좋은 의사결정'에 대한 고민이다. 의사결정을 잘한다는 것에는 빠른 상황판단이나 유관 부서와 이해 관계자를 고려하는 등 여러 가지 요소가 포함된다.  여러 요소 중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데이터 활용도다. 이전보다 다양한 자료를 구하기 쉬워진 세상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불확실한 상황 속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고 판단하는 것이 훨씬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데이터 분석가에서 직무를 변경한 요즘도 통계나 수학 관련 공부는 조금씩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토마스 베이즈 의사결정과 관련된 통계 이..

독서기록 2025.02.01

'이방인'을 읽고 | 세상의 상식을 맞추기 위해 살아가는 나에게

2025년 작은 목표 중 하나는 '문학을 읽자'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를 배출한 나라, 문화강국 꼬레아에 살면서도 소설책이나 시집을 읽은 적은 거의 없었다. 그나마 영화나 드라마를 즐긴 것이 내가 접한 문학생활의 전부였다. 독서의 가장 큰 목적은 '정보 전달'이라는 생각과 삶의 가장 큰 문제는 지금 내 일의 전문성이었기 때문에 비문학류의 독서를 즐겨했다. 그러다 점점 나이가 들수록 고민의 폭이 달라지는 것을 느꼈다. 사람과의 관계 또는 나는 어떻게 좋은 리더가 될 수 있을까 같은 여전히 세속적인 고민부터 어떻게 살 것인가, 나는 어떻게 행복할 수 있는 사람인가처럼 나와 관련한 고민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런 답을 찾기 위해 지금의 input으로 한계가 있다는 것을 느꼈다. 그래서 문학 작품을 읽기로 했다..

독서기록 2025.02.01